top of page


1992년에 나타난 일본 국민적 rock 밴드


"일본에는 Mr.children이 있다. 우리는 Mr.Children이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아카하시 도모키 (음악평론가)


일본에 살아있는 레전드 밴드


1992년도 데뷔로 2018년도 현재까지 일본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rock밴드 중의 하나이며,

수 많은 일본의 거물급 아티스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존재이다.


2017년도 10월 뮤직스테이션에서 발표된 자료에는 21세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밴드 1위에 올라선 최고의 밴드이다.


그들의 활동은


1993년도 싱글 'cross road'의 밀리언셀러 달성을 하며, 다음 싱글인 'innocent world'가

오리콘 첫 1위와 동시에 같은 해 연간 싱글판매량 1위를 기록하며, 일본 레코드 대상을 수상하게 되며,

일본의 국민밴드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그 이후로 계속해서 이어지는 모든 앨범들에 밀리언셀러로 최고의 밴드로 인정을 받게 된다.




<출처 나무위키>


얼마나 일본인들에게 사랑을 받고 평판이 좋은 밴드인지 통계를 보면 알수있다.

사회불평등에 대한 가사로 시작했던 밴드는 점점 성숙해지고, 감성적인 밴드로 우리들에게 음악을

선물해주고있다.

연륜이 있는 밴드이니 만큼 실력 , 라이브 , 퍼포먼스 에서도 최고라고 말할 수 있다.


최근에 발표한 곡 < Your song>



최고의 밴드가 되기까지


보컬 사쿠라이 카즈토시는 2001년에 소뇌경색이라는 병에 걸려 생사의 갈림길에 서기도 했었고,

밴드의 주축인 사쿠라이의 불륜과 이혼, 이혼후 양육권에 소송에 대해서 안좋은 이미지를 심어 음반 판매량이 하향세를 보인바 있었지만, 양융권 소송이후, 사쿠라이의 이미지가 바닥까지 추락 된 상태에서

발매된 'Q'앨범은 Mr.children 앨범에 가장 낮은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다음 앨범에 음악성은 또다시 인정받아 히트를 하며, 다시 우뚝 서는 시기도 있었다.



Updated: Nov 12, 2018



"이 시대의 문화산업은 상향평준화"


평균적으로 듣고 보고 즐기는 문화수준이 예전에 비해 많이 높아졌다.

영상기술 및 그래픽, 음악 등 미디어 콘텐츠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귀와 눈은

상당히 "상향평준화"가 되어 있는 게 기정사실이다.


그런 미디어 시대에서 본인의 소중한 작품의 권리와 저작권을 지키는 것도 우리에겐 큰 숙제로 다가온다.



"음악 저작권은 우리가 지킨다"


엘리펀트에서 1년간 준비해온 사업 분야중 하나인 '엘리펀트웨이브 음원마켓'이 오픈했다.

모든 음악저작권은 엘리펀트에 귀속되므로, 음악 저작권에 대한 이슈가 다른 곳에 비해 적을 것은 확실하다.

“엘리펀트웨이브”의 등장은 영상 및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모든 분들의 Needs를 충족해 드리지 않을까 감히 생각해본다.







- 저작권 문제와 예산싸움


엘리펀트사운드에서 음악감독으론 5년, 음악&사운드 감독으로 일한지는 10년이 넘어간다.

수많은 연출 감독님들과 작업을 해본 결과, 방송 혹은 TVC, 상업영화 만큼 규모가 크지 않으면, 음악제작은 예산 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퀄리티와 비용의 싸움은 프로젝트의 시발점이자 종착지이기도 하다.

모든 업체들의 큰 숙제는 고퀄리티를 유지하되 합리적인 비용으로 제작을 하는 것이다.

특히 단가가 작은 광고 혹은 애니메이션, 게임 등을 제작하는 모든 스타트업 회사들에게

‘차별성 있는 음원 구하기’는 그야말로 숨은그림 찾기와 맞먹는 실정이다.


고 퀄리티의 음악을 사용하고 싶지만 비용이 상당하고, 간단한 영상에 음악을 넣기 위해

무료 음원사이트를 웹 깊숙한 곳 끝까지 찾아본 기억이 있다면?


바로 두 번째의 문제가 찾아온다. 무료의 음원을 찾았어도 저작권문제 때문에 불안한 마음은 감출 수 없다. 비용은 해결되었을지 모르지만, 출처와 저작권이라는 심리적인 압박감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 타당한 음원가격


수많은 음원마켓에 시장조사를 한 결과 두 가지의 문제점이 확인 된다.

‘퀄리티를 무시한 무분별한 음원 개수’

‘오케스트라 장르의 수요’

사실 이 사업을 추진할 때 음악감독들과 입을 모아 한 가지의 슬로건을 두었다.

“수준 높은 오케스트라 장르로 독보적인 음원마켓이 되자”


엘리펀트사운드의 의뢰를 해주시는 많은 인디게임 개발자분들과

영상연출 감독님들은 오케스트라 음악을 늘 갈구한다.

하지만 장르가 장르인만큼 오케스트라 곡 제작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엘리펀트는

저렴한 음원을 만들 생각은 없었다.

단, 경제적인 음원을 만들자.


엘리펀트웨이브의 음원은 이것만큼은 확신한다.

“경제적인 금액으로 수준 높은 오케스트라 곡을 보유합니다”




- 해외에서는 이미..


해외에서는 이미 음원마켓이 활성화가 되어있지만,

국내에는 아직 소수의 사이트를 제외하고는 전혀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다.

물론, 빠르게 시작을 하여 자리 매김을 확실히 한 회사도 보이지만

생각보다 음원마켓 산업은 우리나라에서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아 보인다.


사실 작곡가들 혹은 예술하는 분들에게 음원마켓이 눈에 가시일거라

생각되기도 한다.

음원마켓으로 인해 음악제작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적은 비용으로 좋은 음악을 사려는

움직임이 많아진다면 업계 내에서 가시 같은 존재가 됨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움직이는 사람들이 있어야

변화하는 시대에 맞춘 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음악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지 않을까??








엘리펀트사운드 속에 엘리펀트웨이브


앞서 두서없이 말한 내용을 토대로 정리를 하자면

엘리펀트는 음악감독, 엔지니어, 작곡가가 음악을 만들어가는

음악집단이다.

엘리펀트사운드는 포스트프로덕션으로 TV CF, DRAMA, GAME 등

경험 많은 구성원들이 모여 다양한 콘텐츠의 음악과 사운드를 직접 제작하는 분야라고 설명하고 싶다.

엘리펀트 사운드를 기반삼아 탄생한 엘리펀트웨이브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모든 이들에게 “경제적인 금액으로 합당한 음악”을 제공하는 사막의 오아시스가 되고 싶다.





우리는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고 엘리펀트웨이브를 세계 속의 거대한 음원마켓으로 자리 잡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저작권의 권리를 보호하고, 경제적인 금액으로 질 높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언젠간 우리를 인정해주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엘리펀트웨이브는 이제 시작되었다.





www.elephantwave.co.kr


#음원라이브러리 #Royaltyfreemusic #musicmarket #음악마켓 #음원마켓

#BGM #배경음악 #게임BGM #GAMEBGM #게임음악 #stockmusic #게임음악 #영상음악






bottom of page